- Today
- Total
- 스프링 #의존성 주입 #DI
- 빌드 에러
-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나머지가 1이되는 수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IntelliJ #인텔리제이 #교육용
- 문자열 다루기 기본 #자바 #JAVA
- JAVA #프로그래머스 #약수의 개수와 덧셈
- JAVA #프로그래머스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두 정수 사이의 합
- 자바 #프로그래머스 #JAVA #최솟값 만들기 #코딩테스트
- 백준 #JAVA #자바
- 자바 #프로그래머스 #JAVA #다음 큰 숫자
- 프로그래머스
-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 SW공학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숫자의 표현
- JAVA #백준
- 콜라츠 추측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 Java
- JAVA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 JAVA #핸드폰 번호 가리기 #프로그래머스 #자바
- servlet
- 데이터베이스 #DB #데이터 #정의 #기본
- JAVA #코드업 #기초 100제
- 백준 #자바
- 최대값과 최솟값 #자바 #JAVA
- 최대값과 최솟값
- 게임 맵 최단거리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목록JAVA/JAVA (basic) (18)
MOMONOTE
클래스 두 개 이상의 클래스가 선언된 소스파일(.java)을 컴파일하면 바이트 코드 파일(.class)은 클래스를 선언한 개수만큼 생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3단계 1. 클래스 설계 2. 객체 생성 3. 객체이용 클래스를 선언한 다음, 컴파일 했으면 객체를 생성할 설계도가 만들어진것이다. (IDE환경에서는 단순히 저장)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든다. 힙 영역에 만들어진 객체의 주소를 참조타입인 클래스 변수에 저장한다. 클래스 구성 요소 멤버 변수(필드) : 클래스 중괄호 블록 어디든 존재할 수있다. 하지만 생성자와 메소드 블록 내부에서는 X 클래스로부터 객체가 생성될 때 멤버변수는 기본 초기값으로 자동 설정된다. 만약 다른 값으로 초기화 하고 싶다면 1. 멤버 변수를 선언할 때..
객체 현실 세계의 객체를 소프트웨어 객체로 설계하는 것을 객체 모델링 이라고 한다. 객체 모델링은 현실 세계 객체의 속성과 동작을 추려내어 소프트웨어 객체의 필드와 메소드로 정의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멤버변수, 생성자, 메소드로 구성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특징 캡슐화 객체를 멤버변수(필드) , 메소드를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 내용을 감추는것. 외부의 객체는 내부 구조를 알지 못하고 객체가 노출하고 제공하는 변수와 메서드만 이용할 수있다. (접근제한자를 사용한다.) 상속 부모가 갖는 필드와 메소드를 자식 객체에게 물려주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복되는 코드를 줄이고, 부모 객체를 재사용하여 하위 객체를 만들어 쉽고 빠르게 설계할 수있다. 다형성 자바는 부모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
배열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나열시키고, 각 데이터에 인덱스를 부여해 놓은 자료구조 -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 - 한번 생성된 배열은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 배열 변수는 참조 변수이다. 배열도 객체이므로 힙 영역에 생성되고 배열 변수는 힙 영역의 배열 객체를 참조한다. - 스택 영역에 배열 변수 값은 힙 영역의 배열의 0번지 주소값을 참조한다. - 배열의 길이 배열이름.length; 배열 크기를 벗어난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을 저장, 조회 등 을 하면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기본타입 배열은 각 항목에 직접 값을 갖고 있지만, 참조타입(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은 각 항목에 객체의 벉를 가진다. String은 클래스 타입이므로 각 ..
데이터 타입 ( 기본타입, 원시 타입 ) 프로그램은 결국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자바가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본타입(원시타입) : 정수 타입 (byte, char, short, int, long) , 실수 타입 (float, double), 논리타입(boolean) 참조타입 : 배열 타입, 열거 타입, 클래스, 인터페이스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으로 선언된 변수의 차이점은 저장되는 값이 무엇이냐 이다. 기본타입을 이용한 변수는 실제 값을 변수안에 저장하고, 참조타입을 이용한 변수는 메모리의 번지를 값으로 갖는다.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 하여 참조 타입이라고 한다. 기본 타입 변수의 ==, != 연산은 변수의 값이 같은지, 아닌지를 조사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