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 문자열 다루기 기본 #자바 #JAVA
- IntelliJ #인텔리제이 #교육용
-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두 정수 사이의 합
- 백준 #JAVA #자바
- 자바 #프로그래머스 #JAVA #최솟값 만들기 #코딩테스트
- 스프링 #의존성 주입 #DI
- 데이터베이스 #DB #데이터 #정의 #기본
- 빌드 에러
- 게임 맵 최단거리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 JAVA #백준
- 자바 #프로그래머스 #JAVA #다음 큰 숫자
- JAVA #프로그래머스 #약수의 개수와 덧셈
- servlet
- 백준 #자바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숫자의 표현
- 최대값과 최솟값 #자바 #JAVA
- JAVA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나머지가 1이되는 수
- Java
- JAVA #프로그래머스
- JAVA #핸드폰 번호 가리기 #프로그래머스 #자바
- SW공학
- JAVA #자바 #프로그래머스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 프로그래머스
- JAVA #코드업 #기초 100제
- 최대값과 최솟값
- 콜라츠 추측 #자바 #JAVA #프로그래머스
목록Java (21)
MOMONOTE
static 정적이란 의미를 갖는다. 정적 멤버는 클래스에 고정된 멤버로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필드(멤버변수)와 메서드를 말한다. 각각 정적 필드(멤버변수), 정적 메서드라 부르고, 객체에 소속된 멤버가 아니라 클래스에 소속된 멤버이기 대문에 클래스 멤버라고도 한다. 선언시 static 키워드를 추갖거으로 붙인다. public class 클래스{ //정적 멤버변수 static 타입 변수; //정적 메서드 static void sum(int a){ } } 정적 변수와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에 고정된 멤버 이므로 클래스 로더가 클래스(바이트 코드)를 로딩해서 메소드 메모리 영역에 적재할 때 클래스별로 관리한다. 따라서 클랫의 로딩이 끝나면 바로 사용할 수있다. 멤버변수를 선언할때 인스턴스 필..
클래스 두 개 이상의 클래스가 선언된 소스파일(.java)을 컴파일하면 바이트 코드 파일(.class)은 클래스를 선언한 개수만큼 생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3단계 1. 클래스 설계 2. 객체 생성 3. 객체이용 클래스를 선언한 다음, 컴파일 했으면 객체를 생성할 설계도가 만들어진것이다. (IDE환경에서는 단순히 저장)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든다. 힙 영역에 만들어진 객체의 주소를 참조타입인 클래스 변수에 저장한다. 클래스 구성 요소 멤버 변수(필드) : 클래스 중괄호 블록 어디든 존재할 수있다. 하지만 생성자와 메소드 블록 내부에서는 X 클래스로부터 객체가 생성될 때 멤버변수는 기본 초기값으로 자동 설정된다. 만약 다른 값으로 초기화 하고 싶다면 1. 멤버 변수를 선언할 때..
Java String toCharArray(); char[] dart = dartResult.toCharArray(); - 문자열 dartResult 를 char형태의 문자 배열로 바꾸어준다. Character 클래스의 Character.isDigit 함수 명시된 char값이 숫자인지 아닌지 판별하여 숫자면 true ,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 ex) Character.isDigit('c'); - > false Character.isDigit('5'); - > true Character 클래스의 Character.isLetter() 함수 명시된 char 값이 문자면 true,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 ex) Character.isLetter('5'); - > false Character.isL..
데이터 타입 ( 기본타입, 원시 타입 ) 프로그램은 결국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자바가 지원하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기본타입(원시타입) : 정수 타입 (byte, char, short, int, long) , 실수 타입 (float, double), 논리타입(boolean) 참조타입 : 배열 타입, 열거 타입, 클래스, 인터페이스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으로 선언된 변수의 차이점은 저장되는 값이 무엇이냐 이다. 기본타입을 이용한 변수는 실제 값을 변수안에 저장하고, 참조타입을 이용한 변수는 메모리의 번지를 값으로 갖는다.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 하여 참조 타입이라고 한다. 기본 타입 변수의 ==, != 연산은 변수의 값이 같은지, 아닌지를 조사하지만 ..